이것저것 일상 저장소/리눅스
[리눅스] 리눅스 메모리 용량 및 사용률 확인 방법
nyahahah
2023. 12. 12. 20:07
이번에는 리눅스에서 메모리 용량 및 사용률 확인하는 방법을 기록해보려 합니다.
지극히 제가 사용하고 확인할 때 편했던 내용만 간략히 기록 남기려 합니다.
리눅스의 메모리 정보를 확인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free 명령어입니다.
(전 이것만 쓰는 거 같습니다)
free 이외에는
$ sar -r 1
or
$ top -n1 | grep Mem;
이 있습니다.
아래 리눅스 free 명령어를 사용하면 우리가 가장 보기 쉽게 표현을 해줍니다
$ free -h
여기서 -h 가 바로 사람이 읽기 가장 쉬운 상태로 출력을 해줍니다.
-h 이외에 -b, -k- -m 등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, -h밖에 안 쓰더라고요.
다음으로 메모리 사용률입니다.
메모리 사용률은 항상 헷갈리는 부분이었습니다.
왜냐하면 buffer나 cache를 포함시키냐 마냐는 것 때문에요.
제 결론은 메모리의 사용률에서 buffer나 cache를 잔여 메모리 용량에 포함시키는 것입니다.
즉, used(실사용공간 + buff+cache)에서는 buff와 cache를 빼주던가, 잔여 용량을(free + buffer + cached)로 본다는 것
1. '사용률'을 구할 때의 계산식은
1) = {total - (free + buffers + cached)} / total
2) = (used - (buffer + cached) / total
2. '잔여 메모리 용량' = free + buffer + cache
왜냐하면 리눅스는 성능 향상을 위해 잔여공간을 캐시영역으로 만들어 놓기 때문입니다.
리눅스는 유휴공간, 즉 빈 공간(잔여 공간)을 캐시 영역으로 자기가 알아서 할당을 하여
리눅스의 속도 or 성능을 향상 지키려 합니다.
따라서 실제로 buffer와 cached가 메모리에서 더 사용될 수 있는 공간이기 때문에 잔여 메모리에 포함시켜 보는 게 낫다 판단했습니다.
그럼 이만!